HOME Q&A 이용안내 진행상황 즐겨찾기 로그인



작명신청 개명/예명신청 감명신청 상호신청 아호신청 궁합신청 택일신청 도아작명원소개

leftbanner02.jpg
leftbanner03.jpg


사주정보

절기·월건 | 격국 | 왕쇠 강약 | 생극합화 | 생극합화2 | 순용과 역용 | 용신론 | 용신로2 | 격국론 | 직업론 | 조후론

용신론
제22장 용신을 정하는 법

격국은 성격과 파격으로 나뉘며 성격이 되면 부귀하고 파격이 되면 빈천하다. 
용신은 득과 실의 두 측면이 있는데 용신이 득력得力하면 부귀하고 용신이 실력失力하면 빈천하다. 
용신이 득력한 것을 유력하 다고 하고 용신이 실력한 것을 무력하다고 하기도 한다. 
격국이 성격되고 용신도 유력하다면 부귀길수 의 징조다. 격국이 파격이 되고 용신도 무력하다면 
빈천요절할 징조다. 

격국은 성격이 되었으나 용신이 무력한 것과 격국은 파격이 되었으나 용신이 유력한 것은 평범한 사주다. 
부귀는 팔자에 정해져 있고 정해진 궁통窮通은 운에 달려 있다. 사주는 뿌리이고 운은 잎이다. 뿌리가 튼튼한 나무는 
운이 좋으면 잎이 무성하여 발달하고 설사 나쁜 운이 와도 그 운 동안에 잎이 떨어질 뿐이지 뿌리는 여전히 
건재하 는 것이다. 
반면에 사주가 나쁘면 뿌리가 나약한 형상이니 좋은 운이 와도 큰 부귀는 누리지 못하고 나 쁜 운을 만나면 
일패도지하여 큰 재앙을 만난다. 그러므로 사주 자체가 좋아야 하는 것이다. 

용신이란 무엇인가? 
격국의 성패는 사주 속의 한자一字에 의해 좌우되는 경우가 많다. 
한 글자로 인해 성격이 되기도 하고 한 글자로 인해 파격이 다시 성격으로 변하기도 한다. 
또는 어느 한 글자로 인해 오행이 중화를 이루고 막혔던 오행이 유통되기도 하는 것이다. 

이처럼 한개의 글자가 사주의 결함을 제 거할 때 우리는 그 글자를 사주의 용신이라고 부른다. 
물론 용신이 반드시 어떤 한 글자에 한정되는 것 은 아니다. 좋은 사주는 오행이 잘 짜여져 있어
서 어떤 운이 와도 좋은 것이다. 

이제부터 용신 정하는 원칙인 순역용신, 억부용신, 통관용신, 병약용신, 조후용신, 전왕專旺용신, 
종왕 從旺용신, 화기化氣용신 등을 항목별로 설명한다. 
여기서 전왕용신은 전왕격(곡직인수격, 염상격, 가색격, 종혁격, 윤하격)의 용신이고, 
종왕용신은 기명종격(종관살격, 종재격, 종아격, 모왕자쇠)의 용신이고, 
화 기용신은 화기격(화토격, 화금격, 화수격, 화목격, 화화격)의 용신을 말한다. 이것들은 외격의 용신법이다. 
그리고 억부용신은 일간억부와 용신억부이 두 측면으로 나누어 고찰하기로 한다. 

제1절 일주의 억부용신

부扶란 인성으로 생하고 비겁으로 조助하는 것을 말한다. 억抑이란 관살로 극하거나 식상으로 설하는 것을 말한다. 
사주를 살펴서 마땅히 억할 것은 억하고 부할 것은 부해야 한다. 예컨대 춘목春木, 하화夏火, 추금秋金, 
동수冬水는 체성體性이 태왕한 상태이므로 식상으로 설하거나 관살로 극해야 한다. 이런 경우는 억이 용신이다. 
또 춘금春金, 하수夏水, 추목秋木, 동화冬火는 체성이 태약太弱한 상태이므로 인성으로 생하 거나 
비겁으로 조해야 하니 생조하는 것이 용신이 된다. 

1. 부일원扶日元의 취용법 

?재관왕財官旺에 용인用印하는 경우 

己 壬 丙 丁 

酉 寅 午 亥 

임수 일주가 오월에 나니 절태絶胎의 지地다. 체성이 극도로 약한데 다행히 시지에 유금이 있으니 자 식이 모친을 만나 
도움을 받는 격이다. 그러므로 인수 유로 용신을 삼는다. 
인오가 회국하여 화로 되고 병이 투출했으니 화가 용신 금을 극하고 있다. 
다행히 해 속의 임수가 화를 견제하여 금을 보호하고 있 다. 여름의 수가 금을 용신으로 삼는 예이니 중국의 
외무장관을 지냈던 오조추의 사주다. 

?관살왕官殺旺에 용인하는 경우 

戊 丙 癸 丁 

子 申 丑 卯 

병화 일주가 12월에 나고 신자申子 회수會水하고 계가 투출했으니 관살이 왕하고 병화가 극도로 신약 하다. 
다행히 무가 계를 합하여 기신 계가 날뛰지 못하고 정화와 묘목이 돕고 있다. 
그러므로 묘 속의 을목을 용신으로 삼으니 중국 중앙연구원 원장을 지냈다. 동화용인冬火用印의 
예를 든 것이다. 

위의 두 사주는 재관살이 태왕할 때 인성을 용신으로 삼고 비겁으로 도운 경우이다. 

?재왕財旺에 용겁用劫하는 경우 

丁 戊 癸 癸 

巳 子 亥 酉 

이 사주는 일주의 녹이 시지에 있으니 귀록격으로 보아도 된다. 
무토 일원이 10월에 나니 재가 당왕 하다. 두 개의 계가 투출하니 수왕토탕水旺土蕩의 형세다. 
인성 화가 수의 극을 받으니 용신이 될 역량이 부족하여 비겁으로 왕한 재를 극하는 용신으로 삼는다. 
사 속의 무토가 용신이 된다. 재왕용겁이면 부자 가 된다. <원이부元理賦>에서는 "귀록격에 재가 있으면 부자고 
귀록격에 재가 없으면 가난하다."고 했다. 동토용겁冬土用劫의 사주를 예를 든 것인데, 
이 사주의 주인공은 상인으로서 돈은 많았지만 귀를 누리지 는 못했다. 

甲 甲 甲 甲 

戌 辰 戌 辰 

천원일기天元一氣의 사주다. 지지가 사고가 모였으며 재성이 왕하다. 
일주 갑목이 가을이니 잎이 떨어 진다. 다행히 진에 계을이 있어 뿌리 박고 습기를 더하니 활목活木이지 
사목死木이 아니다. 이 사주의 용 신 역시 비겁이다. 부자이면서도 귀하게 된 것은 사주에 정관 신辛이 있기 때문이다. 
술의 지장간 신금辛 金이 정관이다. 

2. 억일원抑日元의 취용법 

壬 丙 丙 丁 

辰 子 午 卯 

이 사주는 살인격殺印格이다. 병일간이 오월에 나니 양인격이다. 
병정이 투출하고 묘목이 화를 생하니 불길이 치열하다. 
다행이 자진 수국을 이루어 양인을 충하지 못하니 좋다. 양인은 충을 당하면 흉하기 때문이다. 
임의 칠살이 투출하고 수국을 이루니 칠살로써 양인을 제어하는 용신으로 삼는다. 
양인합살羊 刃合殺이면 생살지권을 장악하며 무관으로 출세한다. 이 사주의 주인공은 중국 광동성과 광서성의 
순무 를 지냈던 용제광의 사주다. 하화용살夏火用殺의 원리가 적용된 예이다.   

제2절 용신의 억부용신

부약扶弱과 억강抑强의 원리를 용신에 적용시킨 것이다. 
약한 용신을 부축하는 것은 재로써 용신인 관 살을 생하는 법과, 관으로써 용신 인印을 생하는 것과, 식상으로 
약한 재를 생하는 것을 예로 들 수 있다. 강한 것을 억제하는 예로는 식상제살격(정관도 많으면 칠살로 변하고 
칠살도 약하면 편관에 불과하다), 재파인격財破印格, 재설식상격財洩食傷格, 인설관살격印洩官殺格, 
인제식상격印制食傷格 등이 있다. 아래에 예를 든다. 

1. 부용신의 취용법 

?관인상생격官印相生格 

甲 己 丙 甲 

子 丑 寅 子 

기일간이 정월에 나니 전원의 흙이 아직 해동되지 않은 상태다. 
자축의 얼음을 녹이는 태양인 병화가 용신이 된다. 병화가 인에서 장생한다고는 하나 아직 왕성하지는 못하다. 
갑의 도움을 받으니 불꽃이 꺼지지 않아 좋다. 
운이 목화로 향하니 태평재상이 되었다. 이는 청나라 유용의 명조이다. 
한토용인寒土 用印의 예이다. 

?재자약살격財滋弱殺格 

戊 戊 戊 甲 

午 申 辰 午 

무가 진월에 나니 토가 득령한데다가 무가 3개나 투출했으니 흙이 강물을 덮은 형세다. 
갑이 없으면 소통하지 못하는데 진월에는 양기가 점차 왕해지는 반면 목기는 고갈한 때라, 강한 토를 극하려다가 
목 이 부러질 판이다. 그러나 묘하게도 신진申辰 회국하여 재(수)가 살(갑)을 도우니 좋다. 
이 사주는 청나라 강희제의 명조로서 진과 오의 사이에 일간 녹 사가 끼어 있으니 협록夾祿이 되고, 
오와 신申 사이에 미의 천을귀인이 있으니 협귀격도 되어 대귀한 것이다. 

?재왕생관격財旺生官格 

庚 乙 戊 己 

辰 卯 寅 卯 

인묘진 목방이 있으니 목이 극도로 왕하다. 왕한 것은 극해야 좋으니 경금이 용신이다. 
그런데 인은 경의 절지絶地이니 목견금결木堅金缺로서 목이 강하면 금이 이그러지는 형세다. 
다행이 무기의 재가 경 정 관을 생하고 진을 깔고 앉아 도움을 받으니 족히 용신이 될 힘이 있다. 
춘목이 재관을 용신하는 예이다. 

?식신생재격食神生財格 

庚 壬 丙 甲 

子 甲 寅 申 

임과 병은 서로를 좋아하니 호수에 햇빛이 반사되어 영롱한 빛을 발하는 이치라, 
이 사주는 임수가 인의 병지病地에 났으니 수기가 고갈된 상태다. 경이 수원이 되고 자신子申이 수국하니 
신약하지 않다. 인의 지장간 갑병이 모두 투출하니 식신 갑이 인의 녹을 얻어 수의 기를 빼어 재를 생하니 
임과 병이 상영성휘相映成輝하였다. 춘수가 목화로 용신하는 예를 든 것이다. 


2. 억용신抑用神의 취용법 

?인왕용재격印旺用財格 

戊 丁 甲 戊 

申 卯 寅 辰 

인묘진 목방에 갑이 투출하니 목다화한木多火寒의 형상이다. 
인印이 상象을 이루어 태강하니 재로써 印 을 파괴함을 용신으로 삼으니 오로지 신申 중의 경금이 용신이 된다. 
국민정부 주석 임삼의 사주다. 춘화 春火가 재를 용신으로 삼는 예이다. 

?살왕식제격煞旺食制格 

丁 乙 辛 癸 

亥 酉 酉 未 

을목이 유월을 만나 태胎이니 생기가 안으로 움츠러들 때다. 
겉으로는 낙엽이 지지만 해미 목국을 이 루어 뿌리가 견고하고 을목의 본성으로 볼 때 극을 두려워하지 않는다. 
그러나 신辛의 칠살이 강하니 정의 식신으로 칠살을 제복하는 용신으로 삼는다. 
산서의 군벌 염석산의 사주이니 추목秋木이 식신을 용 신으로 삼아 제살하는 예이다. 

?인설관살격印洩官煞格(살인상생격) 

乙 酉 壬 壬 

未 子 寅 申 

병화가 임을 만나니 귀할 사주다. 그러나 임이 두 개나 되고 자신子申 수국하여 일간을 극함이 심하다. 
다행히 을과 인이 있어 인성으로 화살化煞하는 용신을 삼는다. 춘화春火가 인印을 용신으로 하는 예이다. 

?인제식상격印制食傷格 

戊 戊 戊 丁 

午 申 申 酉 

지지에 신유申酉의 금이 모이니 설기가 태심하며 자왕모쇠의 현상이다. 
정과 오의 인수로 금을 제하고 토를 따스하게 하니 상관패인격이다. 오와 신申 사이에 미가 끼어 천을귀인이 되니 
협록격이 되어 귀하 게 되었다. 토금상관土金傷官에 인印을 용신으로 하는 예이다. 

?재설식상격財洩食傷格 

庚 丙 己 戊 

寅 午 未 戌 

미월은 더위가 아직 가시지 않을 때이고 미 중 정화, 술 중 정화, 인 중 병화가 있어 통근하고 있으니 신약하지 않다. 
그러나 토가 천간 지지에 4개나 되니 설기가 심하고 광채를 흡수 당하고 있다. 경이 토 의 기운을 뽑아서 
재물로 화化하게 하니 경이 용신이다. 소위 왕한 것을 설해야지 극하면 안된다는 것이 입증된 셈이다. 
자와 인 사이에 축의 재고財庫가 끼어 있는 형상이니 더욱 묘하다. 
이 사주는 화토상관火 土傷官에 재성이 용신이 된 예이다. 

제3절 통관의 용신

일간은 통관의 역할을 할 수 없다. 
흔히 두 가지 오행이 세력이 비슷하여 싸울 때 그 사이를 화해시키 는 오행을 통관신이라고 하여 용신이 된다. 
세력이 비슷하지 않아도 용신이 될 수도 있다. 
사주는 기가 두루 통해야 좋은 것이다. 이제 통관의 용신 4가지를 예를 들어 설명한다. 

?관상양정官傷兩停에 재財로 통관 

甲 己 庚 戊 

子 丑 申 寅 

가을의 토는 기온이 차가우니 병화로 조후함이 원칙이다. 
그러나 인 중 병화는 신申의 충을 받아 신申 중 임수에 의해 파괴되었으므로 용신이 될 수 없다. 
갑의 정관이 인에 통근하고 경의 상관이 신申에 통 근하니 극설교집이다. 그러나 일간이 인 중 무토, 신申 중 
무토, 축 중 기토에 통근하니 신약하지만 감당 치 못할 지경은 아니므로, 자신子申 수국이 재로서 상관과 정관의 
싸움을 화해시키는 용신으로 삼는다. 수운에 발달하였다. 
이는 추토秋土가 재관을 용신한 경우다. 

?재인양정財印兩停에 관살로 통관 

庚 己 丙 己 

午 未 子 亥 

기토가 중동에 생하니 동토에는 병화가 필요하다. 
그러나 사오가 있고 병이 투출하니 이미 조후는 이 루어진 상태다. 월지에 재가 당령하고 해자가 왕성하니 
재가 왕하여 인성을 극하는 것이 흠이다. 
그러므 로 해 속의 갑목 정관으로 재인의 싸움을 화해시키는 용신으로 삼는다. 
이는 동토冬土가 관인官印을 용신 으로 삼는 예이다. 

?제과칠살制過七煞에 재성으로 통관(재자약살격) 

戊 丙 戊 壬 

戌 戌 申 寅 

병화가 초추初秋에 생하여 열기가 조금 남아 있고 술 속의 정화에 뿌리 박으니 소위 신고身庫다. 
또 인 은 병화가 장생하고 통근하는 지지이고 인술이 회국하여 화가 되니 별로 신약하지 않다. 
월지 신申의 壬이 투출했는데 병화는 임수를 만나면 귀하다. 
그러나 무가 두 개나 천간에 있어 임을 극하며 지지의 술 역시 임을 극하니 칠살을 지나치게 제어하는 것이 흠이다. 
소위 제살태과한 형상이며 병이 많은 흙을 만나니 광채를 흡수당한 형상이다. 
그러므로 신申 속의 경금으로 식신의 기운을 뽑아내어 임수를 생하 니 용신이 된다. 
이는 추화秋火가 재살을 용신으로 삼는 예이다. 

?비겁 재에 식상이 통관 

己 丁 丙 丁 

酉 酉 午 酉 

정화가 월지 오에 건록하고 유에 장생하고 있다. 
겁재가 중첩하여 재물을 겁탈하니 기토의 식신으로 겁재를 화化하여 재를 생하게 하는 용신으로 
삼는다. 이는 여름의 화가 식신을 용신으로 삼는 경우이다.

제4절 병약病藥의 용신

<오언독보>에 이르되, "병이 있어야 비로소 귀하니 상함이 없다면 기특할 것도 없다. 
격의 병을 제거 할 때 재록이 스스로 따를 것이다."고 하였다. <명리정종>에서도 병약설을 각각의 경우로 
나누어 설명 한 바 있다. 여기서는 병약 용신의 대강을 살펴보기로 한다. 

병약설이란 사주의 병신病神을 제거하는 약신藥神을 얻을 때 부귀하게 된다는 이론이다. 

예컨대 여름 의 목은 인수 수가 있어야 좋은데 이때 사주에 무가 투출했다면 임계를 파괴하여 흉하다. 
그러므로 이 무를 병신이라고 한다. 병신이란 기신의 일종이다. 그런데 사주 또는 운에서 갑이 있으면 무를 극하여 임계를 구출하니 
이 경우에 갑은 병(무)을 제거하는 약이 되는 것이다. 
여기서 약신이란 구신救神의 일종 이다. 

甲 丁 己 壬 

辰 丑 酉 戌 

유월에 정화가 장생한다고는 하나 화기가 약해질 때다. 
그러나 인수 갑이 생조하며 정관이 재의 기운 을 흡수하여 다시 인수를 생하니 재관인이 겸비하여 부귀할 팔자다. 
그러나 기토가 임을 혼탁하게 하고 있다. 무릇 임수는 기토가 있으면 혼탁해져서 쓸모가 없게 되는 까닭이다. 
다행히 갑이 기를 극하여 임 을 보호하고 있으니 합하지는 못하고 다만 목극토를 할 뿐이다. 지지에 유축이 금국을 이루어 
재가 국을 이루니 부자가 되고 관직은 그만 못한 것을 알겠다. 여기서 기는 병이고 갑은 약이다. 

庚 甲 壬 戊 

午 寅 戌 子 

술월의 목은 낙엽이 지고 메마를 때다. 
인오술 화국을 이루니, 화국에는 갑목이 타버린다고 <적천수> 에 기록되어 있다. 
이 사주의 갑목은 바싹 마른 고목의 형세다. 경금으로 용신을 삼기 전에 시급히 물기 를 얻어야 살고, 
임계로 화국을 파괴해야 부귀를 누릴 수 있다. 
다행히 천간에 임이 있고 자에 통근하고 있으니 용신이 된다. 그러나 천간의 무토가 임수를 파괴하니 병이다. 
그러므로 병(무)을 제거하는 비견 갑목을 얻어야 한다. 
을은 토를 극하는 역량이 미약하므로 필히 갑을 얻어야 하는 것이다. 그런데 인 중 갑목이 있으나 화로 변질하고 말았으니 
있으나마나다. 병은 중한데 약이 없다. 
운에서 목운을 만나면 병을 제거하여 부귀하게 될 것이다. 이 사주는 용신 임이 상처를 입어 경금의 도움이 있었지만 
좋은 작 용을 발휘하기 힘들게 된 것이다.   

제5절 조후의 용신

오행이 생하고 극하는 것은 본래 기후의 우열을 표시한 것에 불과하다. 
그러므로 오행의 상생과 상극 을 볼 때는 반드시 기후를 고찰하고 과연 상생이 가능하고 상극이 가능한지를 
다시 살펴봐야 한다. 예컨 대 토는 금을 생하지만 여름의 조토燥土는 금을 생할 수 없으므로 수를 얻어야 비로소 
금을 생할 수 있게 되고, 겨울의 동토는 금을 생할 수 없으므로 반드시 화가 있어야 금을 생하는 것이다. 

또 금은 수를 생하 지만 추동의 한금寒金은 수를 생하지 못하므로 반드시 화를 얻어야 비로소 수를 생할 수 있다. 
또 수는 목을 생하지만 겨울의 얼어붙은 수는 목을 생하지 못하고 반드시 화를 얻어야 목을 생할 수 있는 것이다. 
또 목은 화를 생하지만 춘하春夏의 목이 사주에 화가 많으면 목이 불에 타버리고 마는 것이므로 수를 얻어야 
목화가 서로 도와 광명을 발할 수 있는 것이다. 

여름에는 수를 얻어야 오행이 작용할 수가 있고 겨울에는 화를 얻어야 오행이 작용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우선 조후를 먼저 살피고 조후가 되었을 때 비로소 오행의 올바른 상생과 상극의 작용이 가능하니, 
비로소 격국을 논해야 하는 것이다. 예를 든 다. 

辛 乙 癸 壬 

巳 丑 丑 申 

축월의 을목이니 물은 얼어붙어 목을 생하지 못하고 오히려 나무를 얼려 죽이고 금 역시 수를 생하지도 
목을 극하지도 못한다. 
다행히 사 속의 병화가 천지를 따뜻하게 해주니 오행이 기능을 수행할 수 있 게 되었으므로 사 중의 병화가 용신이 된다. 
한목향양寒木向陽이니 겨울의 목은 태양을 원하는 것이다. 

己 乙 乙 癸 

巳 亥 丑 卯 

축월이니 천지가 얼어붙어 오행이 제기능을 발휘하기 힘들 때다. 
그러므로 수는 목을 생할 수 없고 목은 토를 극할 수 없고 토는 수를 극할 수 없다. 그런데 다행히 사 속의 병화가 있으니 
오행이 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되었다. 
사 중의 병화가 이 사주의 용신인데 한곡회춘寒谷回春의 형상으로 조후를 우선적으로 살피고 
그 후에 격국을 살펴야 한다. 

甲 辛 癸 壬 

午 丑 丑 辰 

금수상관격인데 금한수냉하니 화가 있어야 한다. 
시주가 갑오로서 갑목이 오 속의 정화를 이끌어 내 어 조후가 되었다. 
정화가 용신이다. 갑목인정甲木引丁으로 정화는 갑목이 있어야 존재할 수 있다. 

丁 乙 丙 丁 

亥 丑 午 丑 

목화상관木火傷官인데 병정이 투출하니 화왕목분火旺木焚의 위험이 있다. 
필히 수를 얻어야 조후가 되어 화를 억제하고 목을 생할 수가 있다. 다행히 해에 임이 있고 축에 계가 있어 
화를 제하고 토를 습기있게 하여 화의 기운을 흡수하니 수가 용신이 된다.   

제6절 전왕격의 용신

전왕격은 일행득기격이며 일간과 동일한 오행이 사주에 많아 기세가 편중된 것이다. 
이하의 격국은 모두 정격이 아닌 외격이다. 외격이란 사주의 기세가 한쪽으로 편중된 것이므로 정격이 일간을 
월지에 대조하여 용신을 정하는 것과는 달리, 전 국全局의 기세를 보고 용신을 정한다. 억부를 용신으로 삼지 않으며 
왕성한 기세에 순응하는 것을 용신으로 삼는다. 각각의 외격은 고유한 특성에 따라 인성과 비겁 으로 용신을 
삼는 것도 있고 식상으로 용신을 삼는 것도 있다. 

외격은 특별격국으로써 전왕격, 종왕격, 합화격(화기격)으로 나뉜다. 먼저 다섯 가지 전왕격 즉, 곡직 인수격, 
가색격, 종혁격(금강격), 윤하격, 염상격의 구성 조건과 용신 정하는 법을 예를 들어 설명한다. 

전왕격은 목 일간으로 봄에 태어나면서 지지에 목국이나 목방을 이루어야 곡직인수격이 되고, 화 일 간이 여름에 
태어나 지지에 화국이나 화방을 이루어야 염상격이 되고, 토 일간이 사계에 태어나 지지에 사고가 모여야 가색격이 되고, 
금 일간이 가을에 태어나 지지에 금국을 이루어야 종혁격이 되고, 수 일 간이 겨울에 태어나 지지에 수국이나 
수방을 이루어야 윤하격이 된다. 

<적천수>에 이르되, "독상獨象은 화지化地(식상운)로 가야 좋고 또 화신(식상)이 왕성해야 한다."고 했으니 이는 
"왕한 것은 그 기세에 따 르고 거역하지 말아야 한다."는 원리와 같다. 특히 일행득기격은 사주에 관살이 있으면 
파격이 되는 것 을 유념해야 한다. 
따라서 인성이 있어야 관살운이 와도 버틸 수 있고 식상이 있어야 재운이 와도 군비 
쟁재되지 않는다. 

그러나 식상을 우선적으로 용신을 삼고 인성은 보조역할을 하는 것이 원칙이다. 인성과 식상이 서로 싸우는 형세가 되면 
오히려 한 가지만 있는 것보다 못하게 된다. 특별히 전왕격인데도 식상을 용신으로 삼지 않고 인성을 용신으로 
삼는 경우도 있는데 이는 조후가 필요한 경우와 관살이 있을 때 통관시키기 위한 경우이다. 이와 같은 원리를 적용하여 
격국의 등급을 나누는데, 격국의 고저에 관해서는 후술한다. 

총괄적으로 말하면 전왕격의 용신은 식상이나 인성이다. 인성이 있어야 좋은데 식상만 있거나, 식상 이 있어야 좋은데 
그 대신 인성이 있다면 격국의 등급은 떨지게 되며 귀하지 못하게 된다. 
천간에 관살 이 투출하면 파격이다. 재성이 투출하면 파격이 되지는 않으나 식상이 있거나 천간의 합이 
되어 제거해 야 한다. 식상이건 인성이건 천간에 있는 것을 용신으로 삼는 것이 원칙이다. 

?곡직인수격의 용신 

己 乙 甲 癸 

卯 亥 寅 未 

이홍장의 사주다. 
인월의 을목이 병계를 떠날 수 없다. 
우수 전 4일에 태어나고 인 속의 병화가 추위 를 없애 주고 천간 계수가 수분을 공급하니 상격이다. 계의 인성이 
천간에 있으니 이를 용신으로 삼는 다. 인성이 용신이니 관살운이 와도 해롭지 않고 오히려 관직이 높아진다. 
대운이 금으로 가도 후상候相 에 봉해진 것은 이 때문이다. 

오 대운은 목의 사궁死宮이 되고 그 대운의 신축辛丑년에 죽으니 나이 79세 였다. 전왕격이 일단 성격이 되고 
인성이 용신이면 관살운에 벼슬이 높아진다. 식상격에 인성이 용신일 경우에도 관살운이 오면 극설교집이 되어 
흉하긴커녕 관운이 열리는 것과 같다. 

癸 乙 己 乙 

未 亥 卯 丑 

단기서段祺瑞의 사주다. 
묘월에 양기陽氣가 충족되고 목이 메마를 때라 계수가 투출하여 목을 배양하고 있다. 
대운이 금의 관살로 행하여 집정執政했고 남방운 병자년에 죽으니 나이 72세였다. 금성옥진부金聲玉 振賦에서 
곡직인수격에 인성이 있으면 좋다고 한 것이 이와 같은 경우를 두고 한 말이다. 

己 乙 丁 乙 

卯 未 卯 亥 

법학박사의 사주다. 
묘월 을목에 정화가 투출하니 목화통명하여 학문적 소질이 뛰어나고 봄의 갑을 일간이 화를 
용신하면 교육계로 진출함이 많다. 
수가 돕지 않은 것이 흠이고 기토의 재가 투출함이 흠이 나 정화 식신이 있으니 군비쟁재가 
되지는 않는다. 

己 乙 丁 乙 

卯 未 亥 丑 

곡직인수격이지만 봄은 아니고 겨울에 태어나니 귀하지 않다. 
정의 식신이 투출하고 그것이 조후에 적합하니 목화문성木火文星이다. 
비록 농부에 지나지 않았으나 집안이 화평하고 자손이 효도하며 장수하 고 다복하였다. 해월의 을목이 병과 무를 
떠날 수 없으니 만약 병무가 투출했다면 높은 벼슬을 했을 것 이다. 
조후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만약 병술시에 태어났다면 벼슬을 했을 것이다. 
그리고 곡 직격은 을일간에게 적용하고 갑일간에게는 적용하지 않는 것이 원칙이다. 
묘진월의 갑목은 경금이 용신 이 되기 때문이다. 
그리고 곡직인수격은 지지에 해 또는 자가 있어야 상격이다. 해가 더욱 좋다. 


?염상격의 용신 

염상격은 일간이 병이고 지지에 화국이나 화방을 이루고 관살이 없는 경우에 성립된다. 
염상격은 운 에서 무조건 목화를 만나야 발달하고 금수운은 무조건 나쁘다고 판단한다. 
이것은 염상격만의 특징이 다. 그리고 염상격은 인성을 용신으로 삼고 식상을 용신으로 삼지 않는 것이 원칙이다. 
아무리 염상격이 성격돼도 운이 목화로 행하지 않으면 쓸모가 없는 것도 염상격의 특징이다. 식상이 용신이면 
부자는 되 지만 관운은 없다. 

甲 丙 甲 戊 庚 丙 丙 甲 

午 午 寅 戌 寅 午 寅 戌 

위의 두 사주는 인월에 나니 염상격이 이루어지긴 했으나 실시했다. 
그러나 운이 목화로 향했기 때문 에 재상이 될 수가 있었다. 

戊 丙 甲 戊 

戌 午 寅 戌 

염상격이다. 
애석한 것은 무토가 투출하여 불빛을 흡수한 것이다. 
시지에 화개가 있으니 예술적 소질 이 많다. 그래서 예술가로 이름을 날렸다. 운이 목화로 갈 때 예술로 돈을 벌었다. 
염상격이 인성이 없고 식상만 있으면 식상인 토가 광명을 흡수하므로 귀한 관직에 오르지는 못하고 토가 
금의 재를 생하여 부자가 될 뿐이다. 

이 사주는 토가 많으니 관직은 얻지 못하고 목화운에 돈을 벌었다. 년간의 무는 갑에 의해 파괴되어 좋았으나 
시간의 무는 갑과 간격이 있어 파괴되지 않고 남아 있어서 관운이 열리지 않은 것이다. 
위의 두 사주와 비교하면 그 차이를 알 수 있으리라. 

甲 丙 庚 甲 

午 午 午 午 

화가 득령하여 염상격이다. 
그러나 운이 금수로 행하여 불꽃이 사그러드니 포부를 펴지 못하였다. 
정 일간은 염상격을 이루지 못하고 다만 지지에 화국이나 화방이 있으면 왕한 화에 종할 뿐이며 귀함이 적다. 
일간이 정화이면 염상격이 잘 안되는 이유는 정화는 위로 솟아오르는 기세가 없기 때문이다. 용신 이 목화로 되는 
점은 같으나 염상격이라는 명칭은 부여하지 않는다. 


?가색격의 용신 

가색격은 무기 일주가 지지에 진술축미를 많이 만나고 사주에 관살이 없을 때 성립된다. 
미월의 가색 격은 경신庚辛의 식상을 용신으로 삼고, 술축월의 가색격은 병의 인성을 용신으로 삼으며, 
진월은 목의 여기가 남아 있으므로 가색격으로 보지 않고 잡기재관격으로 논하는 것이 원칙이다. 

庚 己 壬 癸 

午 丑 戌 未 

늦가을의 기토가 추위에 얼어붙으려 하니 화가 필요하다. 
그리하여 오 중 정화를 용신으로 정한다. 초년의 금운은 곤고하다가 중년부터 운이 화로 가니 무오, 
정사, 병진에 벼슬길이 순탄하여 참모총장이 되었다. 

庚 己 己 戊 

午 未 未 辰 

여자의 사주다. 
미월에 금을 용신으로 삼으면 벼슬은 못하고 다만 부자가 된다고 보는 것이 일반론이다. 
그러나 계월季月의 토일주가 금을 용신으로 하는 가색격에서는 벼슬도 가능하다. 

이 사주는 시주가 경오인데 오 중 정화를 용신으로 삼지 않고 경을 용신으로 삼아 왕한 토의 기운을 설기시켜야 한다. 
격 국이 순수하니 기일간을 위주로 하고 무일간은 화염토조火炎土燥로 보는데, 이는 무와 기의 속성이 다르 기 때문이다. 
미월의 무일간 가색격은 그러므로 대귀하지는 못한다. 
아래에 예를 든다. 

丙 戊 己 戊 

辰 戌 未 戌 

미월의 가색격인데 경신금庚辛金이 없어서 부득이 병화 인성을 용신으로 삼는다. 
그러나 미월의 왕한 토는 마땅히 설기해야지 화로 도울 필요는 없다. 
그러나 병을 용신으로 삼지 않을 수도 없어서 경신庚申, 신유辛酉, 임 대운에 발달하지 못하고 술 대운에 조금 반짝했으나 
계해운 을해년에 용신 병화가 절지에 들어 죽으니 나이 38세였다. 
만약 축월이었다면 벼슬을 했을 것이다. 


?종혁격의 용신 

종혁격은 경신庚辛 일주가 가을에 나고 지지에 금국이나 금방을 이루고 관살이 없을 때 성립한다.
종 혁격의 용신은 식상을 우선적으로 취하고, 인성은 식상이 없거나 관살을 인화引化할 때만 용신으로 삼는 다. 

庚 庚 己 壬 

辰 申 酉 辰 

경일주가 유월에 나고 사주에 목화가 없으며 지지가 금기로 이루어지니 종혁격이 되었다. 
운이 금수 로 가면 좋고 목화로 가면 불길하며 특히 화운이 되면 필사할 것이다. 
용신을 임의 식신으로 삼을지 기 의 인성으로 삼을지 분간해야 하는데 왕금은 수를 만나 그 예리함을 없애야 
하는 원칙에 따라 년간 임 수를 용신으로 삼는다. 
한가지 흠이라면 기토가 임수 옆에서 임을 탁하게 하는 것이다. 임은 무를 두려 워하지 않으나 기를 만나면 
작용을 못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운이 수로 행하니 벼슬을 할 수 있었다. 

己 辛 戊 丁 

丑 丑 申 酉 

여자의 사주다. 
역시 종혁격을 이룬 이유는 천간의 정화 칠살이 있어도 인수 무가 있어 인화引化하기 때문이다. 
특히 인수가 일주와 칠살 사이에 있어 칠살로부터 일주를 보호한 것이 묘한 점이다. 
만약 무 가 없었다면 파격이 되었을 것이므로, 성격시킨 공로를 세운 무로써 용신을 삼는다. 
수운에 부영자귀夫 榮子貴하고 일품부인이 되었다. 갑인운에 용신이 상하니 남편이 죽고 집안이 몰락했고 병진운 
기미년에 죽으니 나이 83세였다. 


?윤하격의 용신 

윤하격은 임계 일주가 겨울에 생하고 사주에 토의 관살이 없고 지지에 수국이나 수방을 이루면 성립 된다. 
윤하격의 특징은 엄동설한에 물바다가 얼어붙은 격이다. 
물이 얼음이 되어 흐르지 못하면 안되므 로 용신을 화로 삼아 조후를 해야 한다는 것이다. 
그러나 비겁이 많으니 조후가 되어도 군비쟁재의 우려 가 있고 토로 비겁을 극하면 파격이 되니 참으로 
판단하기 쉽지 않다. 그러므로 윤하격이 되면 부귀한 사람이 드물다. 결국 용신을 정하는 법은 격국이 얼마나 
순수한지를 가지고 판단하고 등급의 고하를 정 해야 한다. 

즉, 사주에 금수가 순수하면 운에서 목운을 만나 왕한 수기를 설기시키니 좋다고 판단하고, 사주에 목화가 있어 
격국이 불순하면 운에서 금수를 만나야 한다고 판단한다. 아래에 예를 든다. 

庚 壬 壬 壬 

子 申 子 子 

사주가 수국을 이루고 천간에도 금수 일색이니 순수한 윤하격이다. 
갑인, 을묘 대운에 왕한 수기를 설기하니 명성을 날렸다. 

壬 癸 辛 壬 

子 丑 亥 辰 

지지에 수방을 이루고 천간이 금수일 색이니 윤하격이다. 
임자, 계축운에 부모 밑에서 평안히 지내고 갑인, 을묘운에 공명이 혁혁하였다. 
묘와 병의 대운 변환기의 무인년에 피격을 받아 운명하니 기신 병화 가 인에 장생했기 때문이다. 
왕왕 나쁜 대운이 들어오는 시기에 년운이 나쁘면 죽는 것이다. 

甲 壬 壬 丁 

辰 申 子 卯 

역시 윤하격이다. 정은 임과 합하여 거하니 갑과 묘가 동목凍木이 되었다. 
윤하격이 성립되었으나 사 주에 목기가 중하여 수기를 설기시키니 윤하격이 불순하다. 
따라서 운에서 금수를 만나야 한다. 운이 화에 이르면 불길하니 사운 을해년에 죽었다. 
이 사주는 목이 이미 왕하므로 용신이 되지 못하고 오히려 금수로 도와야 한다. 
격국이 불순하여 귀하지는 못하고 다만 부자가 되었다.   


작명가소개 | 사이트 이용안내 | 개인정보처리방침 | 서비스이용약관

도아작명원 서울시 관악구 신사로 110, 201호(신림동) / 구.관악구 신림동 499-50 진양빌딩2층 201호 / 원장 : 고대화
사업자등록번호 : 242-08-00293 통신판매신고번호 : 제 2021-서울관악-1299 호
상담실 (02)597-8802 / 070-8877-2727 휴대폰 010-6204-2266 doa27@naver.com